The Korea Herald

피터빈트

Almost 10% of Korean adoptees may be stateless (한국인 입양아 10% 무국적자)

By KH디지털2

Published : Oct. 20, 2015 - 10:16

    • Link copied

In March, the life of Adam Crapser, a Korean adoptee who was facing deportation after his adoptive parents never filed for his American citizenship, made headlines worldwide. As the 40-year-old automatically lost his South Korean citizenship when he left the country at the age of four to be adopted, Crapser has always been effectively stateless.

[번역]
지난 3월, 양부모가 미국 시민권을 신청하지 않아 추방 위기에 몰린 한국인 입양아 아담 크랩서의 삶이 전세계적으로 화제가 됐다. 40세인 그는 4살 때 한국을 떠나 입양돼 한국 국적을 자동 상실했기 때문에 사실상 무국적 상태였다.
[/번역]

Newly released South Korean government data showed that almost 10 percent of 166, 138 registered Korean adoptees who left the country since the 1950s may be in Crapser’s shoes. According to the report published by Rep. Nam In-soon of the main opposition New Politics Alliance for Democracy,  some 15, 592 Koreans adopted by foreign nationals may be stateless,  a vast majority of them estimated to be living in the U.S.

[번역]
새로 발표된 한국정부 자료에 따르면, 1950년대 이후로 한국을 떠났던 한국인 등록 입양아 16만6, 138명 가운데 10% 정도가 크랩서의 입장에 처했을 수 있다. 남인순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이 공개한 보고서에 따르면, 외국인에게 입양된 한국인 약 15, 592명이 국적이 없는 상태일 수 있으며 이들 중 대다수는 미국에 살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번역]

The individuals account for 9.3 percent of all Korean adoptees, according to the report. According to the lawmaker, most nations in Europe and Australia have been granting automatic citizenship to foreign-born children who arrived in their countries through international adoption. However, this was not the case in the U.S. until 2001.

[번역]
이 보고서에 따르면, 이들은 전체 한국인 입양아의 9.3%를 차지하고 있다. 남 의원의 말에 따르면, 유럽 대다수 나라들과 호주는 해외입양을 통해 자국에 들어온 해외 입양아들에게 자동적으로 시민권이 부여되고 있다. 그러나 2001년까지 미국의 경우는 그렇지 않았다.
[/번역]

Prior to 2001, children were required to enter the country on foreign-born adoption visas, sponsored by adoption agencies. Once the adoption visa expires after six months, it was the adoptive parents’ responsibility to file for their children’s American citizenship. Lawmaker Nam said most of the 15, 592 Korean adoptees who may be stateless are estimated to be those living in the U.S.,  who have never been formally naturalized in the country as their adoptive parents did not apply for their citizenship.

[번역]
2001년 이전에는 입양아들이 입양기관의 보증을 받은 외국태생 입양 비자로 그 나라에 들어가야 했다. 6개월 후 입양비자가 만료되면 입양아의 미국 시민권 신청은 양부모의 책임이었다. 남 의원은 국적이 없는 한국인 입양아 15, 592명 대다수가 미국에 살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는데 이들은 양부모가 시민권을 신청하지 않았으므로 정식으로 미국에 귀화한 적이 없다.
[/번역]

Of the 166, 138 Korean children -- local NGOs estimate that the actual number is 200, 000 -- who were sent abroad for international adoption since the 1950s, some 100, 000 were adopted to the U.S.

[번역]
1950년대 이후로 해외입양을 위해 외국으로 보내진 한국인 입양아 16만6, 138명(국내 NGO는 실제 수가 20만 명으로 추산하고 있다) 가운데 약 10만 명 정도가 미국으로 입양됐다.
[/번역]

In 2000, lawmakers in the U.S. made citizenship automatic for international adoptees. But the law, which took effect in February 2001, excluded adoptees 19 or older at the time. Many, including Crapser (he was already 26 in 2001), did not meet the criteria and fell in a legal loophole.

[번역]
2000년, 미국 의원들은 해외입양아에 대해 시민권을 자동 발급했다. 그러나 2001년 2월에 발효된 이 법은 당시 19세 이상 입양아들을 제외시켰다. 크랩서(2001년에 이미 26세였던)를 포함해 많은 입양아들이 이 기준을 맞추지 못하면서 법률상 허점에 빠졌다.
[/번역]

Rep. Nam said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lmost made no efforts to tackle the issue, although it had said back in 2012 that it will collaborate with the U.S. government to seek ways to support those in need of citizenship.

[번역]
남 의원은 보건복지부가 2012년 당시 시민권이 필요한 이들을 도울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미국 정부와 협조할 것이라고 말했음에도 불구하고 문제 해결을 위해 전혀 노력을 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번역]

“The Korean government needs to do more to tackle this issue,” she said. Meanwhile, Crapser’s next hearing is scheduled on Oct. 20 at the federal building in Portland, the U.S. He is currently subject to the U.S. federal immigration law that makes non-citizens with criminal records face deportation.

[번역]
남 의원은 "한국 정부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더 많은 일을 해야 한다, "고 말했다. 한편, 크랩서의 다음 심리는 10월 20일, 미국 포틀랜드 연방청사에서 열릴 예정이다. 그는 현재, 전과가 있는 외국인을 추방시킨다는 미 연방 이민법 적용 대상이다. (코리아헤럴드 10월12일자 기사)
[/번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