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회에는 저희 책 Advanced Vocab에서 소개한 중상급 영단어들을 알려드립니다. 단어의 우리말 뜻을 기억하는 데에 그치지 않고, 난이도 있는 단어를 실제로 활용하는 단계까지 나아가 보기 바랍니다.

<소통, 교감>

1. instill [instíl] 심어주다

in+still(distill의 -still과 같은 어원으로 ‘한 방울’이라는 뜻)로 구성된 단어다. 액체를 한 방울씩 떨어뜨려 스며들게 하듯, 어떤 생각이나 가치관을 오랜 시간에 걸쳐 주입한다는 뜻을 지닌다.

Universities must instill high standards of ethics in their business students.

대학은 경영을 전공하는 학생들에게 높은 수준의 윤리의식을 심어주어야 한다.

● 나는 아이들에게 독립적인 사고방식을 심어주려 노력하고 있다.

I try to instill an independent way of thinking in my children.

2. overture [óuvərtʃər] 제안

음악 용어로 ‘서곡’을 뜻하지만 외교나 비즈니스에서는 ‘제안’이라는 의미도 있다. ‘명백한’이라는 뜻을 지닌 overt와 마찬가지로 open이라는 어원을 지닌 단어다. ‘서곡’이나 ‘제안’ 모두 ‘열다’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It is indeed a hopeful sign that the terrorist country has begun making peace overtures, but these gestures have yet to yield anything substantive and lasting.

테러 국가가 평화 제안을 하기 시작한 것은 참으로 희망적인 징표지만 그런 행동이 아직 실질적이고 지속적인 성과를 내지는 못했다.

● 지난주에 부모님과 다툰 후에 제임스는 저녁을 사드리겠다고 하면서 화해를 위한 제안을 했다.

After fighting with his parents last week, James made a peace overture by offering to buy them dinner.

3. patronize [péitrənàiz] 애용하다

patron은 원래 ‘후원자’를 뜻한다. 식당이나 술집의 단골손님도 patron이라고 하며, patronize는 ‘단골로 애용하다’라는 의미를 지닌다. 또한 patronize는 후원자의 부정적인 모습처럼, 겉으로는 남을 위하고 친절한 듯하지만 속으로는 자신이 더 뛰어나다고 생각한다는 뜻도 지닌다. 이 의미에서 유래한 patronizing은 condescending처럼 ‘자신이 우월하다고 생각하는’이라는 뜻으로 쓰인다.

For years, Jimmy patronized the restaurant once or twice a week and would sit at his regular table.

수년 동안 지미는 일주일에 한두 번 그 식당을 애용했고 규칙적으로 같은 자리에 앉았다.

● 날 위하는 것처럼 잘난척 마!

Don’t you patronize me!

4. pitch [pítʃ] 홍보하다, 홍보

텐트를 세우다(pitch a tent), 공을 던지다(pitch a ball), 음이 높다(high-pitched) 등은 모두 pitch로 표현한다. 비즈니스에서 pitch는 상대가 부담감을 느낄 만큼 적극적인 광고나 홍보를 의미한다.

Hardly a day went by when the screenwriter did not call his agent to pitch a new story idea.

그 시나리오 작가는 사무실에 전화를 걸어 자신이 생각한 새로운 이야기를 홍보하지 않는 날이 하루도 없었다.

● 보험 영업을 하는 내 친구는 고등학교 동창생 거의 모두에게 판매 홍보를 했다.

My friend is an insurance salesman, and he gave a sales pitch to almost all of his high school alumni.

5. query [kwíəri] 문의, 의문

inquiry의 -quiry와 어원이 같으며, 주로 일과 관련해서 조직이나 전문가에게 묻는 질문을 말한다.

The customer service center did its best to respond to all email queries within two business days.

고객 센터는 모든 이메일 문의를 2일 이내에 답하기 위해 최선을 다했다.

●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주저 말고 연락 주십시오.

Should you have any queries, please do not hesitate to contact me.

6. quid pro quo [kwíd prou kwóu] 보상

something for something이라는 뜻을 지닌 라틴어 표현이다. ‘받은 만큼 주는 보상’을 일컫는다.

In an apparent quid pro quo, the governor awarded the construction contract to one of his biggest campaign donors.

도지사가 그 건설 계약을 선거에서 자신을 가장 많이 후원해준 사람 중 한 명에게 준 것은 논공행상으로 보였다.

● 문제가 되고 있는 새 공업 단지의 위치에 관해 대통령은 답례의 가능성을 부정했다.

Regarding the controversial location of a new industrial complex, the president denied there was any quid pro quo.

7. rapprochement [ræ̀prouʃmɑ́ːŋ] 화해

r(re)+approchement(approach와 같은 어원)으로 구성되며, ‘다시 가까워진다’는 의미에서 유래한 단어다. 외교에서 두 국가 간의 화해를 표현할 때 쓴다.

As technology continues to make the world a smaller place, the likelihood of rapprochement between the two Koreas increases.

기술이 세계를 더 가깝게 만들고 있으므로 남북 간 화해의 가능성도 높아지고 있다.

● 양국 간 경제적 혜택이 많으므로 대만 총통은 중국과 화해를 추구하고 있다.

The Taiwanese president seeks rapprochement with mainland China, as there would be significant economic benefits for both countr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