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 Herald

소아쌤

Time for decisiveness (결단력이 필요하다)

By KH디지털2

Published : Nov. 9, 2015 - 09:55

    • Link copied

U.S. guided-missile destroyer USS Lassen sailed within 12 nautical miles of at least one of the artificial islands in the South China Sea claimed by China on Tuesday, bringing to stark reality the growing tensions between the U.S. and China.

[번역]
화요일, 미국의 미사일 구축함 USS 라센함이 중국이 영유권을 주장하는 남중국해 인공섬의 12해리 내 수역으로 진입해 미.중 긴장을 고조시켰다.
[/번역]

For some two hours, the USS Lassen sailed close to the 12 nautical-mile area claimed by China as its territory, at one point sailing within the 12 nautical miles of Subi Reefs, while two Chinese vessels shadowed the guided-missile destroyer. The episode went without a military clash, but U.S. said that it would repeat such sail-bys, and Beijing, next time, might do more than call in the U.S. ambassador.

[번역]
USS 라센함은 약 2시간 동안 중국이 영유권을 주장하는 수역의 12해리 근처까지 항해했으며 수비 환초 12 해리 이내로 진입하기도 했다. 그 동안 중국 함정 2척이 라센함의 뒤를 밟았다. 군사적 충돌은 없었으나 미국은 이러한 항해를 계속 할 것이라고 말했고 중국은 다음 번에는 미국 대사 소환 이상의 조치를 취할 지도 모른다.
[/번역]

The U.S. argues that such sail-pasts are necessary to demonstrate the U.S. commitment to keeping the international waters free. In a move to bolster its territorial claims in the South China Sea, China has been reclaiming reefs and tiny islands into artificial islands. However, international laws do not recognize territorial sea claims emanating from man-made islands built on previously submerged reefs.

[번역]
미국은 항해의 자유에 대한 미국의 약속을 입증하려면 이러한 항해가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중국은 남중국해에 대한 영유권 주장을 강화하기 위해 작은 섬과 암초를 인공섬으로 개간하고 있다. 그러나 국제법은 수중 암초에 세워진 인공섬에서 나오는 영해권 주장을 인정하지 않는다.
[/번역]

Tuesday’s incident was a foreseeable one: The U.S. rebalance in East Asia and the growing maritime power of China were bound to become a point of conflict at some point. In fact, Washington is reported to have deliberated for several months such “freedom of navigation” patrols in the area, through which one-third of global trade passes.

[번역]
화요일의 사건은 예측할 수 있는 일이었다. 미국의 동아시아 재균형과 중국의 커져가는 해상력은 언젠가 충돌할 것이었다. 사실 미국은 몇 개월 동안 전세계 상선 통행량의 3분의 1을 차지하는 남중국해에서의 ‘항해의 자유’ 순찰을 심사숙고한 것으로 알려졌다.
[/번역]

Seoul should have been aware of an impending incident in the South China Sea. Despite Foreign Minister Yun Byung-se’s denial that the South China Sea situation was ever discussed during the summit meeting between President Park Geun-hye and U.S. President Barack Obama, Obama’s remarks at the Oct. 16 joint press conference indicate that the two leaders did talk about the issue. In hindsight, Obama appears to have been alluding to the possibility of U.S. action, urging Korea to take a stand with the U.S. when he said, “Where China fails to abide by international norms and rules, we expect the Republic of Korea to speak out on that, just as we do.”

[번역]
한국 정부는 남중국해에서 곧 이런 사건이 일어날 것임을 알고 있어야 했다. 윤병세 외교장관은 한미 정상회담 때 남중국해의 상황이 논의된 바가 없다고 말했으나 10월 16일 공동 기자회견에서 오바마의 발언은 두 정상이 이 문제에 대해 논의했음을 시사했다. 지나고 나서 보니 오바마는 “중국이 국제 규범과 법 준수를 어기면 한국이 우리처럼 목소리를 내기를 기대한다”고 말할 때 미국의 조치 가능성을 암시하며 한국이 함께 태도를 취하기를 촉구한 것으로 보인다.
[/번역]

In fact, Obama pointed out that it would be in the interests of Korea to speak out:  “Given the size of China right there on your doorstep, if they’re able to act with impunity and ignore rules whenever they please, that’s not going to be good for you whether that’s on economic issues or security issues.”

[번역]
사실 오바마는 한국이 목소리를 내는 것이 이익이 될 것임을 지적했다. 그는 “중국이 한국의 문 앞에 있는 큰 나라라는 점을 생각할 때 그들이 멋대로 규칙을 어기고도 벌을 받지 않는다면 그것이 경제 문제이든 안보문제이든 간에 귀국에 좋을 일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번역]

Such clear and strongly worded remarks from Obama should have alerted the Park administration to the likelihood of impending U.S. action against China and diplomatic and security officials should have scurried to formulate a contingency plan. Instead, in an answer to a National Assembly lawmaker, Yoon said that the South China Sea issue never came up during the summit.

[번역]
이렇게 강력하고 분명한 오바마의 발언에 박근혜 정부는 중국에 대해 미국이 조치할 가능성을 깨닫고 외교. 안보 관계자들이 서둘러 사전 대책을 세웠어야 했다.  그런데 윤 장관은 국회의원에게 남중국해 문제가 정상회담에서 논의된 적이 결코 없다고 말했다.
[/번역]

The government’s response to Tuesday’s incident in the South China Sea was rather pedestrian and ambiguous. Without issuing a formal statement, a senior Blue House official, asked to comment by reporters said, “South Korea has been strongly calling for restraint of any action that affects peace and stability in the region,” adding that disputes should be resolved according to international norms. When the next incident erupts, Seoul ought to have a clearer response ready.

[번역]
화요일 남중국해 사건에 대한 정부의 대응은 다소 단조롭고 모호했다. 공식성명 없이 한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기자들의 코멘트 요청에 “한국은 역내 평화와 안정에 영향을 미치는 행동의 자제를 강력히 촉구한다”며 분쟁은 국제 규범에 따라 해결돼야 한다고 말했다. 다음에 사건이 발발하면 한국 정부는 더 분명한 대응을 준비해 놓아야 한다.
[/번역]

The government is in a great quandary as its ally, the U.S., and its biggest trading partner, China, are increasingly at odds. However, the answer is not all that difficult to arrive at if the administration stays focused on the pursuit of what is in the best interests of the country. As a country which relies on the South China Sea shipping route for 30 percent of its exports and 90 percent of energy shipments, it is of vital interest to Korea that the shipping lanes remain free. Efforts to restrict freedom of navigation should be strongly protested.

[번역]
정부는 동맹국인 미국과 최대 교역 상대국 중국이 대립하면서 커다란 난국에 빠져 있다. 그러나 정부가 나라에 최선의 이익이 되는 것을 추구하는 것에 계속 초점을 둔다면 해답을 찾기란 그리 어렵지 않다. 남중국해 해상통로에 수출의 30%, 에너지 수입의 90%를 의존하는 국가로서 남중국해가 자유롭게 열려있는 것이 한국에게는 중대한 이익이다. 항해의 자유를 제한하려는 시도는 강력히 항의해야 한다. (코리아헤럴드 10월30일자 기사)
[/번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