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 Herald

피터빈트

Leaders’ words (지도자들의 말)

By KH디지털2

Published : Aug. 25, 2015 - 09:52

    • Link copied

Good leaders aren’t necessarily good speakers, but it is important for them to deliver the right message at the right time if they want to rally people behind their leadership. From that aspect, neither President Park Geun-hye nor Japanese Prime Minister Shinzo Abe can hardly be called good communicators. We could ascertain this in the past few days as both leaders addressed their countries to mark the 70th anniversary of the end of World War II.

[번역]
좋은 지도자가 반드시 말을 잘 해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국민들의 지지를 모으고 싶다면 적시에 올바른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은 중요하다. 이런 점에서 박근혜 대통령도 아베 신조 일본 총리도 소통에 능하다고 할 수 없다. 두 지도자가 종전 70년 기념연설을 하면서 지난 며칠 간 이를 확신할 수 있었다.
[/번역]

Especially, we had no high expectation of the speech Abe gave on the eve of the Aug. 15 anniversary of its surrender to the Allies 70 years ago, which ended the war and Japan’s colonial rule of Korea.

[번역]
특히, 종전 70주년인 8월 15일 전날에 아베 총리가 한 연설에는 기대가 높지 않았다.
[/번역]

Yet, it is sad that Abe shunned the demand of conscientious people -- including many of his fellow compatriots like former Prime Minister Yukio Hatoyama who knelt before the memorial for Korean victims of Japan’s harsh colonial rule -- to face its wartime atrocities squarely and offer sincere apologies.

[번역]
그러나  전시만행을 직시하고 진정한 사과를 하기 위해 한국인 희생자 추모비 앞에서 무릎을 꿇은 하토야마 유키오 전 총리 등 양심있는 동료들의 요구를 아베가 회피한 것은 유감이다.
[/번역]

Some could say that Abe did not choose the worst scenario in that he included words like colonial rule, aggression, remorse and apology. But when you hear him say that “Japan has repeatedly expressed feelings of deep remorse and heartfelt apology for its actions during the war,” you can see the adroit nationalist did not want to say it in his own words.

[번역]
일각에서는 식민지 지배, 침략, 반성, 사죄 같은 단어를 포함시켰다는 점에서 아베가 최악의 시나리오를 선택하지는 않았다고 말할 지도 모른다. 그러나 “일본은 2차 대전에서의 행동에 대해 거듭 통절한 반성과 마음으로부터의 사죄를 표명해왔다”는 부분에서 교묘한 국수주의자 아베가  자신의 입으로 그런 말을 하고 싶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번역]

Moreover, using the past tense, Abe effectively said that Japan has done enough to repent and apologize for the atrocities it committed during the war and its colonial rule of Korea and other parts of Asia.

[번역]
게다가 아베는 과거형을 사용해 실질적으로 일본이 전쟁 당시 저지른 만행과 한국 및 아시아 국가들에 대한 식민지 지배에 대해 충분히 반성하고 사과했다고 말했다.
[/번역]

In fact, Abe said in the statement that “Japan must not let our children, grandchildren and even further generations to come, who have nothing to do with that war, be predestined to apologize.”

[번역]
사실 아베는 담화에서 “전쟁과 아무 관계가 없는 우리의 아이나 손자, 그리고 그 후 세대의 아이들에게 사과라는 숙명을 짊어지도록 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번역]

Some -- like the three cabinet ministers and about 100 members of the Diet who paid a visit to Yasukuni Shrine -- may agree with Abe. But as Hatoyama put it when he visited a former Japanese colonial prison in Seoul last week, only victims, not perpetrators, can say “that’s enough” when it comes to apologies for past wrongdoings.

[번역]
야스쿠니 신사를 참배한 내각 각료 3명, 국회의원 100여명 같은 일부는 아베에게 동의할 지도 모른다. 그러나 하토야마 전 총리가 지난 주 서대문 형무소를 방문했을 때 말했듯 과거의 잘못에 대한 사과에 있어 ‘그만하면 됐다’고 말할 수 있는 것은 가해자가 아니라 피해자들이다.
[/번역]

If Abe’s war anniversary statement disappointed South Koreans, Chinese and many other sensible members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Park’s Liberation Day speech failed to send a clear message to its former colonial ruler and more importantly to the world and Koreans.

[번역]
아베의 종전 담화가 한국, 중국, 그 외 다수의 지각있는 국제사회 일원들을 실망시켰다면 박 대통령의 광복절 경축사는 일본은 물론 세계와 한국인들에게 분명한 메시지를 보내지 못했다.
[/번역]

Park said that Abe’s speech “left much to be desired” but then quickly added that she took note of his pledge that the position of the previous cabinets will “remain unshakable into the future.” One cannot see whether she is happy or not with Abe’s speech.

[번역]
박 대통령은 아베 담화가 ‘아쉬운 부분이 적지 않다’고 말했으나 역대 내각의 입장은 ‘앞으로도 흔들림이 없을 것’이라는 약속에 주목했다고 재빨리 덧붙였다. 아베 담화에 만족하는지 아닌지를 알 수 없다.
[/번역]

All she did was call on Japan to demonstrate with consistent and sincere actions its pledge to inherit the recognition of history by the previous cabinets and resolve the issue of military sexual slavery.

[번역]
그녀가 한 것이라곤 이전 정부의 역사 인식을 계승하고 위안부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약속을 일관성있고 성의있는 행동으로 입증할 것을 일본에 촉구한 것이었다.
[/번역]

It is understandable that Park wanted to enliven hopes for restoring relations with Japan on the occasion of the 70th anniversary of the end of World War II and 50th anniversary of normalization of relations between Seoul and Tokyo. But she could have done more than repeat what she has already long been saying.

[번역]
종전 70주년, 한일 국교 정상화 50주년을 맞아 박 대통령이 한일 관계 회복에 대한 희망을 살리고 싶어했던 것은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이미 오래 전부터 해 온 말을 반복하는 것 이상도 할 수 있었을 것이다.
[/번역]

Park’s message to North Korea was ambivalent, too. She did mention the recent North Korean provocations like putting land mines in the southern part of the demilitarized zone, but used the Liberation Day speech mainly to paint a rosy picture for unification and enumerating the long list of old proposals to the North -- from linking the two nation’s railroads and arranging reunions of families separated in the two Koreas to joint publication of Korean language dictionaries.

[번역]
대북 메시지도 양면적이었다. 그녀는 비무장 지대(DMZ) 남쪽 목함지뢰 매설 등 최근 북한의 도발에 대해 언급하긴 했으나 주로 통일에 대해 장밋빛 그림을 그리고 남북철도 연결, 이산가족 상봉부터 겨레말 큰 사전 편찬까지 옛 대북 제안들을 열거했다.
[/번역]

The silliest proposal was the one to build an ecological peace park in the DMZ, over which tension is running high in the wake of the Aug. 4 mine blasts that seriously injured two South Korean soldiers. We wonder how the two soldiers -- still in hospital after losing their legs and ankles, will feel about the commander-in-chief’s peace gestures toward those who planted the mines. Park should have at least dropped the proposal for the DMZ park in her speech.

[번역]
가장 어이없는 제안은 8월 4일 지뢰 폭발로 한국 장병 2명이 중상을 입어 긴장이 고조된 DMZ에 생태평화공원을 조성하자는 것이었다. 지뢰를 설치한 이들에 대한 대통령의 평화 제스처에 다리와 발목을 잃고 아직도 병원에 있는 두 장병들의 심정이 어떨지 궁금하다. 박 대통령은 적어도 DMZ 평화공원 제안은 경축사에서 뺏어야 했다. (코리아헤럴드 08월17일자 기사)
[/번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