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 Herald

피터빈트

Jang Jin shares his ‘not so funny’ earlier years (장진의 ‘허탕’, 다시 무대로 돌아와)

By 문예빈

Published : July 2, 2012 - 09:26

    • Link copied



For those familiar with filmmaker and theater director Jang Jin and his sense of humor, his 1995 play “Heotang,” currently on its third run in Seoul, could come as a surprise. The show, which Jang wrote at the age of 21 while serving his military duty, is anything but a comedy: filled with violence and surveillance, the disturbing play evokes the horrors of materialistic modern life. “I wrote the play more than 20 years ago,” the 41-year-old said during an interview with The Korea Herald. 

[번역]
영화감독이자 연극 연출가 장진, 그리고 그의 유머감각에 익숙한 이들에게 3번째로 무대에 올려지는1995년 연극 ‘허탕’은 놀라움으로 다가올 수도 있다. 장진이 21세 군 복무 시절에 쓴 ‘허탕’은 코미디와는 거리가 멀다. 폭력과 감시로 가득 찬 이 충격적인 연극은 물질주의적 현대사회의 공포를 불러일으킨다. 장진(41)은 코리아헤럴드에 “20년도 전에 이 연극을 썼다.”고 말했다.
[/번역] 

 “‘Heotang’ is one of my early works that became the basis of my later pieces that are often considered funny and humorous. And I think it’s fortunate that I started my theater career by writing pieces that are rather dark and serious. If I didn’t, I think, my later works would’ve just ended up being simply funny, without having any depth whatsoever.”  

[번역]
“‘허탕’은 주로 재미있고 유머러스하다고 여겨지는 후기작의 근간이 된 초기작 중 하나다. 다소 어둡고 진지한 작품을 쓰면서 연극을 시작하게 된 것은 행운이라고 생각한다. 그렇지 않았다면 그 후의 작품들은 아무런 깊이도 없이 그저 재미있기만 한 작품으로 끝났을 것이다.”
[/번역] 

A disturbing account of three jailbirds imprisoned together in an unusually luxurious jail cell, “Heotang” and its open ending leaves much room for interpretation. According to the show’s promoters, the play has been receiving mixed reviews since its first show last month, as many viewers complain that the ending is too “abstract” and are therefore unsure what to think of it.  

[번역]
엄청나게 호화로운 감방에 같이 투옥된 죄수 3명에 대한 충격적 이야기인 ‘허탕’과 그 열린 결말은 해석의 여지를 많이 남긴다. ‘허탕’의 프로모터 측에 따르면 ‘허탕’은 지난 달 첫 공연 후로 엇갈린 반응을 얻고 있다. 결말이 너무 ‘추상적’이어서 어떻게 생각해야 할 지를 모르겠다는 것이다.
[/번역] 

Jang said the piece is a product of the 1990s and its trends. “It was not uncommon to stage a piece like this back in the ‘90s,” said Jang. ”At the time, a lot of plays had no linear narrative, had open endings and left much room to their audience to figure out. A lot of plays were also socially conscious and critical of the authorities.”  

[번역]
장진은 ‘허탕’이 1990년대와 그 때의 트렌드가 담긴 작품이라고 말했다. 장진은 “당시 직선적인 내러티브가 없고 열린 결말로 관객들의 상상에 맡겨두는 연극이 많았다. 또 많은 연극이 사회의식이 있어 당국을 비판하는 내용이었다.”고 말했다.
[/번역] 

One of the highlights of the current run of the show is, arguably, its newly-introduced stage setting. To “let the audience feel what it is like to observe the imprisoned,” Jang newly created a round, Panopticon-like stage. The new stage is surrounded by surveillance cameras, CCTV screens and the audience; the setting automatically turns the viewers into observers -- or some kind of god figure -- of the prisoner characters. What the viewers experience as a result is an utter sense of helplessness, as what they can do is to simply “observe” when the characters suffer and scream in pain.  

[번역]
이번 공연의 하일라이트 중 하나는 새로 도입된 무대 세팅일 것이다. 장진은 관객들이 죄수들을 관찰하고 있다는 느낌을 받도록 원형의 무대를 만들어냈다. 새 무대는 감시 카메라, CCTV 화면, 관객들로 둘러싸여 있어 관객들은 자동적으로 관찰자 혹은 죄수들의 신 비슷한 존재가 된다. 그 결과 등장인물들이 괴로움으로 몸부림칠 때 그저 ‘지켜보는 것’ 밖에 할 수 없으므로 관객들은 완전한 무력감을 경험하게 된다.  
[/번역] 

Jang said the piece reflects the questions he had about God and religion when he was in his early 20s. “Well, I was born and raised in a family where every member was a Catholic,” said Jang. ”And I became rather skeptical and critical of religion in my 20s. My main question was: Why would God let the world suffer like this if he in fact exists? Why does he not answer to most of the prayers?”  

[번역]
장진은 ‘허탕’이 20대 초반에 가졌던 신과 종교에 대한 의문을 반영한다고 말했다. 그는 “천주교 집안에서 태어나고 자랐다. 그래서 20대 때 종교에 대해 다소 회의적이고 비판적이 됐다. 주된 의문은 왜 신이 존재한다면 세상이 이런 일을 겪도록 놔두나, 왜 대부분의 기도에 응답하지 않나 하는 것이었다.”고 말했다. 
[/번역] 

Jang, who majored in theater studies at Seoul Institute of the Arts, has written and directed more than 15 films since 1995. His notable film works include “Welcome to Dongmakgol” (2005) and “Good Morning President” (2009). He is currently hosting tvN’s variety show “Saturday Night Live Korea” and appearing as one of the judges on local reality talent show “Korea’s Got Talent.” On top of all that, however, Jang continues to work in the theater scene, and expressed his strong emotional attachment to it.  

[번역]
서울예술대학에서 연극학을 전공한 장진은 1995년부터 15편 이상의 영화의 각본을 쓰고 감독했다. 유명한 영화로는 ‘웰컴 투 동막골’(2005), ‘굿모닝 프레지던트’(2009) 등이 있다. 그는 현재 tvN의 버라이어티쇼 ‘새러데이 나잇 라이브 코리아’의 사회를 보며 ‘코리아 갓 탤런트’에 심사위원으로 출연하고 있다. 하지만 연극계에서도 계속 일하고 있으며 연극에 대한 커다란 애착을 표현했다. 
[/번역] 

“If a movie does not do well in theaters, I just shrug it off and say, ‘Okay, well it didn’t work out this time,’” said Jang. “But it’s not so easy with the plays. I take it more personally. Theater is the foundation of who I am today.” Among many titles of his -- filmmaker, theater director, playwright, screenwriter, and TV host -- Jang said he ultimately wants to be remembered as a writer.  

[번역]
그는 “영화가 흥행이 잘 안 되면 ‘에이, 이번은 잘 안 됐네’하고 털어버릴 수 있다. 그러나 연극은 그렇지가 않아서 더 개인적으로 받아들이게 된다. 연극은 현재의 나를 이루는 토대다.”고 말했다. 장진은 영화감독, 연극 연출가, 극작가, 시나리오 작가, TV 사회자 중 궁극적으로는 작가로 기억되고 싶다고 말했다.
[/번역] 

“I want to die in front of my computer while writing,” Jang joked. “Just like how actors say they’d like to die on stage while acting.” ”Heotang” runs from until Sept. 2 at Dongsung Art Center in Daehangno, Seoul. For tickets and information, call (02) 747-5885.  By Claire Lee 

[번역]
장진은 “배우들이 연기를 하다 무대 위에서 죽고 싶다고 하는 것처럼, 글을 쓰다 컴퓨터 앞에서 죽고 싶다.”고 웃으며 말했다. 9월 2일까지 서울 대학로 동숭아트센터. (02) 747-5885. 
[/번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