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 Herald

소아쌤

Year of possibilities (2) (가능성의 해 (2))

Year of possibilities (2) (가능성의 해 (2))

By 문예빈

Published : Jan. 2, 2011 - 18:07

    • Link copied

Since the beginning of the Lee presidency, South Korea's domestic politics has revolved around who is to blame for the North's worsening belligerence. Those in power have asserted that the past liberal administrations' concessional deals with the North have effectively nourished Pyongyang during its drive to build a nuclear arsenal. The opposition has claimed that the new government's hard-line policy turned the clock back, reopening a Cold War confrontation on and around the peninsula.

[번역]
이 대통령의 집권이 시작된 이후로, 한국의 외교 정책은 북한의 악화되는 도발을 비난하는 인물이 주도하고 있다. 집권층에서는 핵무기 개발을 추진하는 동안 과거 진보 정권의 북한 무상 지원이 북한 정부를 사실상 먹여 살렸다고 주장해왔다. 야권에서는 새 정부의 강경노선이 시계를 거꾸로 돌려 놓아 한반도와 주변에 냉전 대치가 재개되게 했다고 주장해왔다.
[/번역]  
  
It is true that during the 10 years of leftist rule, people here were less worried about the possibility of a new war on the peninsula, with the North's growing economic dependence on the South. But it is also true that Pyongyang has brazenly reneged on agreements on abandoning its nuclear program, conducting nuclear tests and building long-range missiles during this period. A further disturbing fact is that the unrelenting stance of the present government, rejecting any dialogue until the North retreats from its nuclear armament, has met the unprecedented level of aggressiveness shown last year. 

[번역]
북한이 남한에 대한 경제 의존도가 커지는 상황에서 진보 집권 10년 동안에 우리 국민들이 한반도에서 새로운 전쟁이 일어날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감소한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또한 이 기간에 북한이 핵 프로그램 포기 협상을 무모하게 져버리고 핵실험 단행 및 장거리 미사일 구축을 해온 것도 사실이다. 더욱 불안한 사실은 북한이 핵무기를 포기할 때까지 모든 대화를 거부한다는 현 정부의 변함없는 입장이, 지난해 나타났던 전례없는 수준의 도발에 직면하게 만들었다는 것이다.
[/번역]    
 
At the beginning of 2011, the fourth year in his five-year term, President Lee is looking at a few different roadmaps. Among them is a "third way" initiative suggested by government-commissioned strategists and intellectual circles calling for embracing bold engagement with the North on the basis of a strong security posture. This approach starts from the recognition of failure in both the past administrations' "Sunshine Policy" and President Lee's "Denuclearization and Openness 3000," offering massive aid to the North in return for abandoning its nuclear program and opening up its economy.

[번역]
5년 임기 가운데 4년 차인 2011년을 시작하면서, 이 대통령은 약간 다른 방침을 고려하고 있다. 이 가운데는 강력한 안보 태세를 바탕으로 북한을 과감하게 포용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정부로부터 위임을 받은 전략가들과 일부 지식층이 제안하는 “제3자” 방안이 있다. 이러한 접근은 과거 정권의 “햇볕 정책”과 핵무기를 포기하고 경제개방을 하는 대가로 북한에 대규모 지원을 하는 이 대통령의 “비핵화 개방 3000”이 모두 실패했다고 인정하는 것에서 출발한다.
[/번역]  
 
Lee's recent remarks included hints at the possibility of inter-Korean negotiations for denuclearization. The president called for the six-party talks involving the four powers and both Koreas to be reopened, but was not asking for punitive measures in connection with the Cheonan and Yeonpyeong attacks as a precondition. Now that much work is being done to bolster defense preparedness, it is the right move of Seoul to explore a "comprehensive strategy" on North Korea, extricating itself from the narrow corridor of sanctions in response to provocations.

[번역] 
이 대통령의 최근 발언에는 비핵화 남북 회담 가능성에 대한 암시가 포함돼 있다. 대통령은 4개국과 남북한이 참여하는 6자회담 재개를 요구했지만 선결 요건으로 천안함과 연평도 공격과 관련된 처벌 조치는 요구하지 않았다. 국방태세를 강화하기 위한 많은 일들이 이뤄지고 있으므로 도발에 대한 제재라는 편협한 방식에서 벗어나 북한에 대한 “포괄적인 전략”을 남한이 탐색하는 것은 적절한 조치이다.
[/번역]  
 
An undesirable consequence of the North Korean atrocities this year is the appearance of new axes: North Korea, China and Russia on one side and South Korea, the U.S. and Japan on the other. If Beijing and Moscow, with their ambivalence on the West Sea conflicts, were responsible for the split, Seoul should exert diplomatic efforts to deter any collective antagonism from brewing in this part of the world.

[번역]
올해 북한의 잔혹한 행위로 인한 바람직하지 못한 결과로, 한편에는 북한, 중국, 러시아가 다른 편에 남한, 미국, 일본이 있는 새로운 구도가 드러났다. 서해 충돌에서 양면적인 태도를 보인 중국과 러시아 정부가 분열에 책임이 있다면 한국정부는 전세계에 중에서 이 지역에서 일어나는 집단적인 적대감을 막기 위해 외교적인 노력을 펼쳐야 한다.
[/번역]  
 
The Korean Peninsula will be a major topic in summit talks between President Obama and China's Hu Jintao in Washington scheduled for mid-January. It will be a watershed event to decide the course of 2011, a year of many possibilities.

[번역] 
한반도는 1월 중순 워싱턴에서 예정된 오바마 대통령과 중국의 후진타오 주석의 정상회담에서 주요의제가 될 것이다. 이는 많은 가능성이 있는 해인 2011년의 방침을 결정하는 분수령이 될 것이다.
[/번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