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흑자 월드컵’ 56년간 딱 한 번...최대 돈잔치 카타르는?
이코노미스트, 스위스 로잔대 연구 논문 분석
중계권수익 커...2018 러시아 대회 유일흑자
경기장 신축비용↑...2002 한일대회 최대적자
카타르 월드컵 예상수익 비용의 2.8% 불과
각종 스캔들에 카타르 소프트파워 효과 반감
지난 20일(현지시간) 카타르 알 베이트 스타디움에서 열린 2022 국제축구연맹(FIFA) 카타르 월드컵 개막전에 앞서 카타르와 에콰도르 선수들이 도열해 양국 국가를 듣고 있다. [AP]

카타르가 월드컵 역사상 최대 규모의 자금을 투입해 대회를 개최하는 가운데, 월드컵 개최가 해당 국가에겐 곧 천문학적인 규모의 적자로 이어지는 악순환의 고리가 카타르에서 끊어질 수 있을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 밖에도 인구 290만명의 ‘중동 소국’ 카타르가 천연가스(LNG)란 에너지 자원에 의존하는 경제 시스템에서 벗어나 스포츠·문화·관광 등 ‘소프트파워’를 중심으로 한 새로운 미래 먹거리를 찾는데 성공할지 여부도 관심사다.

22일(현지시간) 영국 시사주간지 이코노미스트에 따르면 스위스 로잔대 연구진은 지난 9월 발표한 논문을 통해 1966년 잉글랜드 월드컵부터 4년 전인 2018년 러시아 월드컵까지 총 14번의 대회 중 흑자를 낸 대회는 러시아 대회뿐이라고 밝혔다.

이 논문에서 로잔대 연구진은 ▷경기장 건설 비용 ▷대회 운영비를 ‘비용’으로 산정하고, ▷중계권 판매 ▷후원 ▷입장권 판매 등을 ‘수익’으로 추산해 비교했다. 이 결과 2018 러시아 대회에선 2억4000만달러(약 3254억원)의 순이익이 난 것으로 파악됐다. 연구진은 “최근 대회로 올수록 중계권 수익의 규모가 커지면서 경기장 건설 비용으로 발생하는 적자 폭을 상쇄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9000만달러(약 1221억원)의 흑자를 낸 것으로 나타난 1986 멕시코 대회에 대해 이코노미스트는 “자료가 불완전했다. 실제로는 상당폭의 적자가 발생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고 설명했다.

가장 큰 액수의 적자가 발생한 대회는 48억1000만달러(약 6조5195억원)의 손해가 발생한 2002 한일 월드컵이었다. 연구진은 “한국의 경우 경기장 10개를 신축했고, 일본 역시 7곳을 신축하고 3곳을 증축하며 경기장 건설에 막대한 비용을 쏟아부었다”며 천문학적 규모의 적자가 발생한 이유에 대해 분석했다.

전문가들은 한목소리로 카타르 역시 ‘흑자’를 기록할 가능성은 사실상 없다 보고 있다.

카타르는 이번 대회를 위해 경기장 7곳을 새로 지었고, 1곳을 증축했다. 또, 곳곳에 훈련장까지 마련하며 사실상 축구 인프라 자체를 완전히 새로 만들었다. 이 밖에도 경기장을 잇는 지하철 3개 노선을 새로 깔았고, 고속도로와 공항, 쇼핑몰, 호텔, 병원 등을 신설하는 등 인프라에 천문학적인 비용을 투자했다.

미 경제전문지 포브스는 지난 15일 이번 대회의 투자 비용을 2290억달러(약 311조원)로 추산했다. 이전 대회인 2018 러시아 대회(116억달러)의 19.7배에 이르는 수준이다.

시장정보업체인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글로벌 마켓 인텔리전스가 월드컵으로 카타르가 65억달러(약 8조8238억원)를 벌어들이며 역대 최대 액수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지만, 투자 비용에 비하면 2.8%에 불과한 수준이다.

거의 대부분의 비용을 주최국이 부담하는데 비해, 중계권료와 티켓 판매 금액, 후원액 등 대부분의 수익을 국제축구연맹(FIFA)의 손으로 들어간다는 점도 생각해야 할 지점이라고 로잔대 연구진은 지적했다. 로잔대 측은 “지하철 등 사회간접자본(SOC)의 경우 대회 이후에도 장기적으로 경제에 도움이 되지만, 축구 경기장 등은 결국 사용되지 않거나 지역 경제 발전을 거의 촉발시키지 못한다”고 덧붙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카타르가 월드컵 개최에 나선 이유는 바로 ‘소프트파워’를 강화하겠다는 목적 때문이다. 사우디아라비아와 이란 등 중동의 맹주국들 사이에서 소프트파워를 통한 존재감을 과시함으로써 국가 안보 강화로 연결하고, LNG 수출에만 의존하는 경제 시스템을 개혁하겠다는 것이다.

영국 셰필드할람대의 스포츠 경제 강사인 댄 플럼리 역시 “상업적 측면에서는 크게 손해를 보더라도 소프트파워를 위한 도박수를 두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다만, 카타르 월드컵을 둘러싸고 잇따라 불거지고 있는 각종 스캔들은 카타르가 원하는 소프트파워 효과를 반감시키고 있다.

이코노미스트는 “국토의 대부분이 사막인 국가에서 벌어지는 노동 착취, 성소수자 탄압 등 열악한 인권 상황이 부각되는 것은 카타르가 원하는 결과가 아닐 것”이라며 “개최 과정에서 FIFA 고위부에 뇌물을 살포했다는 혐의 역시 이미지 개선을 최우선시하는 카타르에겐 분명한 악재”라고 짚었다. 신동윤 기자

realbighead@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