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 Herald

소아쌤

No longer special (경제특구는 이제 그만)

By KH디지털2

Published : Jan. 5, 2016 - 11:27

    • Link copied

Special economic zones -- whatever they are called -- are supposed to offer incentives unmatched by other areas, thus inducing enterprises -- especially foreign-based -- to make investments there.

[번역]
경제 특별구역은 다른 지역과 비길 데 없는 인센티브를 제공해 특히 외국 기업들이 투자를 하도록 유도하게 되어 있다.
[/번역]

There are about 200 such zones in Korea, under various names like free economic zones, free trade areas, foreign investment zones, corporate cities, innovation cities and R&D special zones. Sadly, none of them perform the roles they were entrusted to do, having only become a byword for inefficiencies and waste.

[번역]
한국에는 경제자유구역(FEZ), 자유무역지역, 외국인투자지역, 기업도시, 혁신도시, 연구개발특구 등 다양한 이름의 경제특구가 200곳 정도 있다. 슬프게도 이들 모두 맡은 바 역할을 하지 못하고 비능률과 낭비의 전형이 되고 있다.
[/번역]

The dismal situation was verified by a report recently released by the Korea Economic Research Institute, which surveyed firms doing business in the nation’s eight FEZs.

[번역]
이 참담한 상황은 한국경제연구원이 국내 8개 FEZ에 입주한 기업들을 조사하고 최근 발표한 보고서에 의해 입증됐다.
[/번역]

The report found that the Korean FEZs ranked sixth among nine Asian countries in terms of overall business environment. Moreover, the Korean zones were at the rock bottom in key areas that determine competitiveness of such institutions -- government regulation, administrative services, employment conditions, labor relations and tax incentives.

[번역]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FEZ는 전반적 사업 환경 면에서 아시아 9개국 중 6위에 올랐다. 게다가 한국 FEZ는 정부 규제, 행정 서비스, 고용 조건, 노사관계, 조세 인센티브 등 이러한 제도의 경쟁력을 결정짓는 핵심 부문에서 꼴찌였다.
[/번역]

The government statistics throw up one more troubling fact. Foreign direct investment in the eight FEZs from 2003 to 2014 stood at $5,152 million. This accounts for only 14.4 percent of the total investment the whole country attracted in the same period.

[번역]
정부 통계는 골칫거리를 하나 더 내놓았다. 200-2014년 8개 FEZ의 외국인직접투자(FDI) 유치액은 51억5200만 달러로 같은 기간 한국이 유치한 사업비의 14.4%에 불과했다.
[/번역]

On a broader base, the number of foreign-invested firms that settled in the FEZs, free trade areas and foreign investment zones from 2004 to 2014 reached 749, which is 6.9 percent of the total 10,914 firms that made investment in the country. In terms of investment volume, only $20.3 billion or 21.2 percent of the total $95.7 billion went to the special zones.

[번역]
2004-2014년 FEZ, 자유무역지역, 외국인투자지역에 들어온 외국인투자기업 수는 749개로 한국에 투자한 기업 1만914개의 6.9%에 그쳤다. 해당지역의 투자금액은 203억 달러로 전체 외국인 투자금액 957억 달러의 21.2%에 불과했다.
[/번역]

Simply put, the special economic zones are not doing the job they were created to do. The reason is obvious: First, the successive administrations competed to designate special zones out of populism and in the pretext for making a regionally balanced development of the country. As a result, one after another zone popped up in recent years.

[번역]
간단히 말해, 경제특구는 그들 본연의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다.  이유는 명백하다. 우선 역대 정부들이 포퓰리즘에서 혹은 지역의 균형 발전을 구실로 경제특구를 경쟁적으로 지정했다.  그 결과 최근 몇 년 간 경제특구가 연이어 생겨났다.
[/번역]

Many of their functions overlap each other, with few of them providing distinctive incentives, production factors and administrative services to lure investors. Lax and bureaucratic management of the zones scattered across the country worsen the waste of taxpayers’ money and administrative resources.

[번역]
이들은 투자자를 끌어들일 특유의 인센티브, 생산 요소, 행정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고 많은 기능이 서로 중복됐다. 느슨하고 관료적인 경제특구 관리도 혈세, 행정 자원 낭비를 악화시키고 있다.
[/번역]

Growing criticism forced government officials to draw up measures to address the problems. Related government ministries have enlisted five think tanks, including the Korea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 Policy and the Korea Institute for Industrial Economics and Trade, to find a solution to the problems of the crowded economic zones.

[번역]
비판이 커져가자 정부 관계자들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책을 마련했다. 관련 정부 부처는 붐비는 경제특구 문제의 해결책을 찾기 위해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산업연구원 등 5개 싱크탱크의 도움을 받고 있다.
[/번역]

The reform proposals should provide effective prescriptions for streamlining the economic zones, like bold mergers and shutdowns. Then the government should be ready to brace for a backlash from local residents and politicians.

[번역]
개혁안은 과감한 통폐합 등 경제특구 구조조정의 효과적인 처방을 제공해야 한다. 그리고 정부는 지역 주민, 정치인들의 반발에 대비할 준비를 해야 한다.
[/번역]

One cannot but be skeptical, however, about the government’s will. We say this because while announcing its plans to overhaul the existing zones, the government unveiled plans to designate a new group of zones. The latest plan calls for establishing two “regulation-free zones” in each of the 14 major metropolises and provinces. It would have been more sensible and persuasive if the government streamlined the existing ones first before adding a new breed to the already packed terrain.

[번역]
그러나 정부의 의지에 대해 회의적일 수 밖에 없다. 정부가 기존 경제특구를 정비할 계획을 발표하면서 새로운 경제특구를 지정할 계획을 발표했기 때문이다. 14개 시.도에 ‘규제프리존’을 2곳 씩 신설한다는 것이다. 정부가 이미 붐비는 영역에 새로운 타입을 추가하기 전에 기존 경제특구를 구조조정했다면 좀 더 상식적이고 설득력이 있었을 것이다. (코리아헤럴드 12월24일자 기사)
[/번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