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 Herald

피터빈트

Mitsubishi’s selective apology (미쓰비시의 선택적 사과)

By KH디지털2

Published : July 31, 2015 - 10:55

    • Link copied

Japan’s Mitsubishi Materials Corp., after the unprecedented move of apologizing to the American prisoners of war who were used as slave labor during World War II, now says it hopes to apologize to former British, Dutch and Australian World War II POWs who were used as slave labor.

[번역]
일본의 미쓰비시 머티리얼이 제2차 세계대전 당시 강제노동에 징용된 미국 전쟁포로들에게 이례적으로 사과한 후, 이제 강제징용 당한 영국, 네덜란드, 호주 전쟁포로들에게도 사과하고 싶다고 말하고 있다.
[/번역]

The company also said that it hopes to reach an amicable solution with Chinese forced laborers who have filed lawsuits against the company. Regrettably, there is no mention of any form of relief for Koreans who were taken away against their will to provide forced labor for wartime Japan.

[번역]
미쓰비시는 자신들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한 중국인 강제징용 피해자들과도 우호적인 해결을 이루고 싶다고 말했다. 유감스럽게도 일본에 노동력을 제공하기 위해 노동에 강제 징용된 한국인들에 대한 언급은 없다.
[/번역]

At a ceremony held at the Simon Wiesenthal Center’s Museum of Tolerance in Los Angeles on Sunday, a Mitsubishi Materials senior executive offered an apology for “the tragic events in our past” on behalf of Mitsubishi Mining Co., the company’s predecessor.

[번역]
일요일 미국 로스엔젤레스의 시몬 비젠탈 센터에서 열린 기념식에서 미쓰비시 머티리얼의 한 간부는 전신인 미쓰비시 광업을 대신해 ‘과거의 비극적 일’에 대해 사과했다.
[/번역]

While the Japanese government has offered apologies to U.S. POWs used as forced laborers in 2009 and 2010, this was the first time that a private company officially issued an apology.

[번역]
일본 정부가 강제노동에 징용된 미국 전쟁포로들에게 사과한 적은 있으나 민간기업이 공식 사과한 것은 처음이다.
[/번역]

Mitsubishi Mining operated four sites when World War ended in 1945, where 876 U.S. POWs were held. Twenty-seven Americans died in those camps. Very few of those American forced laborers survive today.

[번역]
미쓰비시 광업은 제2차 세계대전이 1945년에 끝났을 때 4개 광산을 운영하고 있었으며 여기에 미군 876명이 붙잡혀 있었다. 이들 수용소에서 27명의 미국인이 사망했다. 현재 생존해 있는 미국인 강제징용 피해자는 극소수다.
[/번역]

Accepting the apology on behalf of the American POWs was James Murphy, 94, who worked at Mitsubishi Mining’s Osarizawa Copper Mine after he was captured by the Japanese military during World War II. In accepting the apology, Murphy said, “This is a glorious day,” adding, “For 70 years we wanted this.”

[번역]
2차 대전 당시 일본군에서 잡혀 미쓰비시 광업의 오사리자와 탄광에서 일한 제임스 머피(94)씨가 대표로 사과를 받았다. 머피씨는 사과를 받아들이며 “영광스런 날이다. 70년 간 원하던 일이다”고 말했다.
[/번역]

While Murphy was gracious in accepting the Japanese company’s apology without bitterness, the Korean survivors of slave labor have not yet been given an opportunity to express such graciousness.

[번역]
머피씨가 관대하게 미쓰비시의 사과를 받아들인 한편 한국인 징용 피해자들은 그런 관대함을 표현할 기회를 아직 얻지 못했다.
[/번역]

In Korea, from where the majority of the forced laborers were taken away against their will, the news of Mitsubishi Materials’ apology to the U.S. victims was received with a bit of bitterness and renewed concern: bitterness that such an apology is not forthcoming for the Korean forced laborers and concern that the Japanese company may have been moved to apologize as part of a bigger scheme to win the goodwill of the American people without properly apologizing to the far greater numbers of victims in Asia.

[번역]
많은 사람들이 강제징용으로 끌려간 한국에서 미쓰비시가 미국 피해자들에게 사과했다는 소식은 약간의 쓰라림과 재발된 우려와 함께 받아들여졌다. 한국인 징용 피해자들이 이런 사과를 곧 받지는 못할 거라는 쓰라림과 미쓰비시가 훨씬 많은 아시아 피해자들에게 적절히 사과하지 않고 미국인들의 호의를 얻으려는 속셈으로 사과했을 수도 있다는 우려다.
[/번역]

While Mitsubishi Materials has apologized to its U.S. victims, the Japanese government, on the other hand, has launched a global public relations offensive arguing that Korean workers conscripted during wartime were not forced laborers. More than 37,000 Koreans are thought to have been taken away for forced labor during Japan’s colonial rule over the Korean Peninsula from 1910-1945. Japan used forced labor, including captured enemy soldiers, to make up for the shortage of manpower during World War II.

[번역]
한편 미쓰비시 머티리얼이 미국인 피해자들에게 사과했지만 일본 정부는 한국인들이 강제 징용당한 것이 아니라는 글로벌 홍보 공세에 착수했다. 일제 통치기간(1910-1945) 한국인 3만7천명 이상이 강제 징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일본은 2차 대전 당시 인력 부족을 메우기 위해 전쟁포로를 포함해 강제 노동자를 징용했다.
[/번역]

In June, the Gwangju High Court ordered Mitsubishi Heavy Industries Ltd., an affiliate of the Mitsubishi Group of which Mitsubishi Materials is also a member, to pay compensation to four Korean women forcibly conscripted as laborers during World War II. The court also ordered the company to pay a fifth plaintiff whose two deceased family members were also conscripted as laborers.

[번역]
6월 광주고법은 미쓰비시 머티리얼과 마찬가지로 미쓰비시 그룹의 계열사인 미쓰비시 중공업에 한국 근로정신대 피해자 4명에게 배상하라고 판결했다. 강제노동에 징용된 가족 2명이 사망한 5번째 원고에게도 배상하라고 판결했다.
[/번역]

The lawsuits were made possible by a landmark Supreme Court decision in May 2012 that ruled that the right of former forced laborers and their families to seek withheld wages and compensation was not abrogated by the 1965 Korea-Japan Normalization Treaty. The ruling allowed plaintiffs to seek damages in Korea.

[번역]
이 소송들은 징용 피해자들과 유가족들이 미지급 임금 및 배상을 받을 권리가 1965년 한일 청구권 협정으로 폐기되지 않았다고 판결한 2012년 5월 대법원의 역사적 판결로 가능했다. 이 판결로 원고들은 한국에서 배상을 요구할 수 있게 됐다.
[/번역]

While Mitsubishi Materials is ready to apologize to Allied POWs and reach an amicable settlement with Chinese forced laborers, rough path is ahead for the Koreans conscripted to forced labor in Japan and elsewhere by the Japanese government, who are now seeking redress. The Abe administration is indulging in legalism, claiming that the Koreans conscripted were Japan’s colonial subjects for whom the country’s 1938 general mobilization law applied and thus cannot be considered forced laborers. Yet, the Korean government must do all it can to get justice for the Korean victims. The country failed them once when it allowed itself to be annexed by Japan; it should not fail them again.

[번역]
미쓰비시 머티리얼이 연합군 전쟁포로들에게 사과하고 중국인 징용 피해자들과 우호적인 해결을 이룰 준비가 된 한편 현재 배상을 요구하고 있는 일본 및 다른 지역의 한국인 징용 피해자들의 앞에 놓인 길은 험난하다. 아베 정부는 옛 식민지배 시기 조선인에 대한 강제 동원은 1938년 국가총동원법에 따라 이뤄진 것이라 주장하며 법률 만능주의에 빠져있다. 그러나 한국 정부는 한국인 피해자들을 위해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해야 한다. 한국은 한일합병 때 그들을 저버렸다. 또 다시 저버려서는 안 된다. (코리아헤럴드 07월24일자 기사)
[/번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