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 Herald

소아쌤

Could exoplanet be a haven for life?

By 조정은

Published : May 17, 2011 - 11:54

    • Link copied

Scientists said on Monday a rocky world orbiting a nearby star was confirmed as the first planet outside our solar system to meet key requirements for sustaining life.

Modelling of planet Gliese 581d shows it has the potential to be warm and wet enough to nurture Earth-like life, they said.

It orbits a red dwarf star called Gliese 581, located around 20 light years from Earth, which makes it one of our closest neighbours.

Gliese 581d orbits on the outer fringes of the star's "Goldilocks zone,"

where it is not so hot that water boils away, nor so cold that water is perpetually frozen. Instead, the temperature is just right for water to exist in liquid form.

"With a dense carbon dioxide atmosphere -- a likely scenario on such a large planet -- the climate of Gliese 581d is not only stable against collapse but warm enough to have oceans, clouds and rainfall," France's National Centre for Scientific Research (CNRS) said in a press release.

More than 500 planets orbiting other stars have been recorded since 1995, detected mostly by a tiny wobble in stellar light.

Exoplanets are named after their star and listed alphabetically, in order of discovery.

Until now, the big interest in Gliese 581's roster of planets focussed on Gliese 581g.

It leapt into the headlines last year as "Zarmina's World," after its observers announced it had roughly the same mass as Earth's and was also close to the Goldilocks zone.

But that discovery has since been discounted by many. Indeed, some experts suspect that the Gliese 581g may not even exist but was simply a hiccup in starlight.

Its big brother, Gliese 581d, has a mass at least seven times that of Earth and is about twice our planet's size, according to the new study, which appears in a British publication, The Astrophysical Journal Letters.

The planet, spotted in 2007, had initially been dismissed as a candidate in the hunt for life.

It receives less than a third of the solar radiation Earth gets, and may be "tidally locked," meaning that one side of it always faces the sun, which would give it permanent dayside and nightside.

But the new model, devised by CNRS climate scientists Robin Wordsworth, Francois Forget and colleagues, showed surprising potential.

Its atmosphere would store heat well, thanks to its dense CO2, a greenhouse gas. And the red light from the star would also penetrate the atmosphere and warm the surface.

"In all cases, the temperatures allow for the presence of liquid water on the surface," say the researchers.

For budding travellers, though, Gliese 581d would "still be a pretty strange place to visit," the CNRS said.

"The denser air and thick clouds would keep the surface in a perpetual murky red twilight, and its large mass means that surface gravity would be around double that on Earth."

Getting to the planet would still require a sci-fi breakthrough in travel for earthlings.

(AFP)

<한글기사>

과학자들, 또 하나의 지구 발견

"행성 `글리제d'는 생명체 살수 있는 곳"

기후 시뮬레이션으로 최초 확인

지구에서 20광년 거리에 있는 암석형 행성 `글리제 581d'가 외부 행성으로서는 처음으로 생명체가 살 수 있는 요건을 갖추고 있음이 확인됐다.

프랑스 국립과학연구센터(CNRS) 과학자들은 지구와 가까운 적색왜성 글리제 581의 주위를 도는 여러 행성 가운데 `글리제 581d'의 기후를 시뮬레이션한 결과 온화하고 액체 상태의 물도 있어 지구의 생물과 같은 생명체가 살 수 있을만한 환경임을 확인했다고 16일 발표했다.

글리제 581d는 글리제 581의 이른바 `골디락스 영역', 즉 중심별에 너무 가깝지도, 멀지도 않아 온도가 적당하고 액체 상태의 물이 존재하는 영역에 속하는 외곽 궤도를 돌고 있다.

연구진은 모델 실험 결과 글리제 581d의 대기가 고농도의 이산화탄소로 이루어 있고 기온도 바다와 구름, 비를 갖췄을 만큼 온난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지난 1995년 태양계 바깥에서 처음 행성이 발견된 이후 지금까지 발견된 외부 행성은 500여개에 달한다. 외부행성의 이름은 별의 이름에 덧붙여 발견된 순서대로 알파벳 글자가 더해져 명명된다.

지금까지 글리제 581 주위에서는 최소한 6개의 행성이 발견됐는데 이 가운데 글리제 581c와 g가 집중적인 연구 대상이 됐으며 글리제 581g는 지난해 지구와 질량이 비슷한 골디락스 행성으로 주목을 받았다.

그러나 추가 연구 결과 일부 전문가들은 글리제 581g가 흔들리는 별빛 때문에 일어난 광학적 현상일 뿐 실제로는 존재하지도 않을 것이라는 의구심을 표시하고 있다.

지난 2007년 발견된 글리제 581d는 질량이 지구의 최소한 7배이고 크기는 지구의 2배 정도여서 처음엔 너무 온도가 낮을 것으로 생각돼 왔다.

학자들은 이 행성이 중심별로부터 받는 `햇빛'은 지구가 받는 햇빛의 3분의 1에 불과하고 중심별의 기조력에 갇혀 있어 한쪽은 항상 낮이고 다른 쪽은 항상 밤일 것으로 생각해 왔다.

그러나 CNRS 연구진이 개발한 새로운 기후 모델을 적용한 결과 대기는 짙은 CO2 덕분에 열을 저장하며 중심별로부터 오는 붉은빛이 대기를 뚫고 표면을 덥힐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어떤 시나리오를 적용해도 이 행성의 온도는 표면에 액체형 물이 존재할 만큼 온화하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밀도 높은 대기와 짙은 구름 때문에 표면은 항상 혼탁한 붉은 석양빛에 싸여 있을 것이며 질량이 크기 때문에 중력도 지구의 2배가량 될 것이라고 연구진은 설명했다.

또한 빛의 속도로 이 행성까지 가는데 20년 이상이 걸리므로 현재의 로켓 기술로 여기까지 가려면 약 30만년이 걸릴 것으로 계산된다.

이 연구는 천체물리학 저널 레터스지에 발표됐다.